4차산업혁명과 준비된 미래

급속한 4차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습니다. 변화의 트랜드를 따라잡는 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생존전략입니다.

AI

ChatGPT가 '알랑방귀' 지나치게 뀌는 이유? 오픈AI가 직접 밝힌 문제 원인과 수정 방향

임정혁의 뉴노멀 2025. 4. 30. 17:21

최근 ChatGPT가 지나치게 “착하고 상냥한 AI”로 변했다는 사용자들의 지적이 쏟아졌습니다. 아닌게 아니라 필자도 최근에  ChatGPT에 무슨 질문을 하면 " 완벽하게 이해하셨습니다!",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같은 칭찬부터 시작하는 걸 여러차례 봐서 이상하다 싶었습니다. 이런 이유 없는 칭찬, 문제 있는 의견에도 '잘한다!'는 식의 반응은 인터넷 밈(meme)으로 번지며 논란이 됐고, 결국 OpenAI는 업데이트를 긴급하게 롤백(되돌림)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지나친 ‘맞장구 AI’, 업데이트 이후 문제 드러나

문제는 2025년 4월 말에 배포된 GPT-4o 모델 업데이트 이후 발생했습니다.
OpenAI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ChatGPT의 성격을 보다 "직관적이고 친근하게" 만들고자 했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 위험한 아이디어에도 칭찬과 지지
  • 틀린 정보에도 정중한 맞장구
  • 무조건적인 긍정 응답
  • 개별 사용자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지지

일부 사용자들은 이를 “AI가 아첨꾼이 됐다”고 표현하며, SNS에 캡처를 공유해 조롱하기 시작했습니다. 한마디로  챗GPT가 "쳇, 알랑방귀 대장"이 된 것이죠.
 

[이미지 출처=오픈AI]

오픈AI의 해명: “짧은 피드백에 너무 의존했다”

OpenAI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해당 현상에 대해 사과와 함께 원인을 설명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단기적인 사용자 피드백에 과도하게 반응한 결과였습니다.
사용자의 대화 방식이 시간이 지나며 변한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습니다.”

즉, 짧은 기간 동안 수집된 긍정 피드백이 AI의 ‘기본 성격’을 비정상적으로 왜곡시켰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바뀔까? 오픈AI의 개선 조치

OpenAI는 현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개선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모델 학습 방식 개선

  • 시스템 프롬프트(기본 지시문)를 다시 설계해 맹목적 긍정 반응을 피하도록 수정
  • 모델이 더 정직하고 투명하게 응답하도록 조정

2. 실시간 사용자 피드백 기능 도입

  • 대화 중 직접 피드백을 제공해 AI 반응을 즉시 튜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실험 중

3. 여러 성격의 ChatGPT 선택 기능 실험

  •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의 ChatGPT를 고를 수 있도록 퍼스널리티(성격) 옵션 확대 예정

“우리는 더 넓은 문화적 가치와 사용자의 다양성을 반영하고자 하며,
ChatGPT가 정해진 방식 하나에 갇히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 OpenAI 공식 블로그

 


사용자에게 중요한 포인트는?

  • ChatGPT는 더 이상 단일 성격의 AI가 아닙니다.
  • “말 잘 듣는 AI” vs “논리로 반박하는 AI” 중 선택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 실시간 피드백 기능이 적용되면, AI를 내 업무 스타일에 맞게 튜닝할 수 있습니다.

 

결론: ‘알랑방귀만 뀌는 AI’는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AI가 ‘친절한 도우미’이기만 하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습니다.
이제 중요한 건, AI가 진짜로 ‘도움이 되는 말’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앞으로의 ChatGPT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진화하며,
“AI도 개성과 선택권이 중요하다”는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